본문 바로가기

강의

'잃어버린 시간'과 현대 소설의 출발

대우재단에서 발행하는 학술지 『지식의 지평』에 프루스트 사망 100주기를 기념하는 글을 실었습니다.

글의 도입부를 공유합니다.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지식의 지평 (jipyeong.or.kr)

 

“어젯밤 ‘끝’이라는 단어를 썼어요.” 1922년 이른 봄, 피로에 지친 마르셀 프루스트가 가정부에게 말했다. 미소를 거두지 않은 채 그는 눈을 빛내며 덧붙였다. “이제 나는 죽을 수 있어요.” 하지만 작가는 작품과 헤어질 수 없었다. 정확히 말하면 작품을 떠날 권리가 없었다. 작품은 자체로 그의 삶이었기 때문이다. 프루스트는 작품의 완성보다는 자신의 소진을 향해 나아갔으며, 얼마나 더 고치고 다시 쓸 수 있을지 가늠하며 남은 시간을 보냈다. 시간이 많지 않은 것 같으면 작품을 출판이 가능한 형태로 정리하는 데 매달렸다. 얼마 더 살 것 같다는 느낌이 들자, 그는 작품의 구조에 틈을 내고 새로운 이야기를 끼워넣으려 했다. 평생 온전한 건강을 누린 적이 없던 작가의 고투는 해를 넘기지 못한다. 집필은 죽음에 쫓기며 이루어지는 동시에 죽음을 재촉했다. 11월 18일 프루스트는 51세로 세상을 떠나고,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1913-1927)는 유작으로 남았다.

작품은 작가 사후 조금씩 잊히는 것처럼 보였다. 유럽의 1922년은 분명 ‘다리가 부러지거나 해야 읽을 수 있는’(프루스트의 동생이 한 말이다) 3,000쪽짜리 소설을 읽기에 좋은 시기가 아니었다. 사람들은 갓 끝난 제1차 세계대전의 후유증에 시달렸고, 기술 문명의 숨가쁜 발전에 쫓겼다. 초현실주의를 비롯한 1920년대의 전위적인 예술은 낡은 세계를 거부하며 꿈속으로, 혹은 미래를 향해 줄달음쳤다. 역사의 무게 앞에서 유년의 추억, 연인들의 심리, 귀족 사교계를 그리는 프루스트의 소설은 좋았던 옛 시대의 기념물처럼 보였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현대문학에 초석을 놓은 고전으로 인정받은 것은 훗날의 일이다. 그렇지만 누구도 프루스트의 위대함을 부인하지 못하는 오늘날에 와서도, 사람들이 그의 책을 읽을 만큼 한가하기는 쉽지 않다. 동시대인 아나톨 프랑스가 말하듯, “인생은 짧고 프루스트는 길다.”

하지만 프루스트의 신화는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적이 없다. 그러니 그의 작품이 어째서 훌륭한 고전인지 설명하기보다 작가를 둘러싼 신화에서 시작하는 게 좋을지도 모르겠다. 프루스트의 신화, 그것은 무엇보다 마들렌이다. 조가비 모양의 틀에 넣어 구운 통통한 과자를 차와 함께 맛보자 기억의 축복이 쏟아진다. 유년의 한때가 생생하게 되살아나고, 사라진 세계를 문학 작품으로 바꾸는 연금술이 시작된다. 프루스트와 함께 마들렌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과자가 되었고, 문학이 얼마나 감각적으로 풍요로운 예술인지 말해주는 기호가 되었다. 동시에 작가는 섬세하고 집요한 기억력의 화신이 되었다. 사람들은 이 방대한 소설의 모든 것이 어떻게 한 사람의 기억일 수 있는지 물으며 놀라워한다.

또 하나의 신화는 글을 쓰는 작가 자신의 모습이다. 믿을 수 없이 병약한 몸으로, 코르크로 방음 처리를 한 방에서 매일같이 밤을 지새워 글을 쓰는 남자가 있다. 과자 한 조각의 맛에서 출발한 작품은 한없이 길어져 세상에서 가장 방대한 소설, 소설가의 힘으로 닫을 수 없는 우주가 된다. 그 끝에서 작품의 주인공은 남은 생을 문학 창작에 바쳐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는 프루스트와 마찬가지로 유폐의 삶을 택하고, 글쓰기의 힘으로 재창조한 세계에서 삶의 의미를 찾을 것이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자서전이 아니지만, 프루스트만큼 자기 소설의 주인공과 동일시되는 작가는 없다. 요컨대 프루스트의 신화는 자신의 평생을 작품으로 바꾸어 낸 작가의 신화다. 죽음은 그의 신화를 완성해주는 것 같다.

'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완과 주인공의 만남  (0) 2021.10.12
뱅퇴유 소나타의 모델들  (5) 2021.09.26